한인중독증회복 선교센터
가족 회복교실
Sex 중독회복
인터넷 중독 회복
니코틴 중독 회복
다이어트 음식중독
  회복
쇼핑/부채중독 회복
도벽(Shoplifting)
  회복
우울증 회복
장애/만성병 회복
12단계 회복프로그램
바이블 12단계
  회복원리
바이블 회복/적용
청소년 12단계
  회복프로
이혼 12단계
  회복프로그램
음성/영상 12단계
  회복
정서/심리 회복
  프로그램
회복참고자료
신문잡지 회복기사
회복자의 편지란
중독증 회복 방송국
영상 회복방송
중독/의존증 회복
  모임교재
베데스다 연못
  회복목회
 

today_48 / total_438832



이해왕 선교사 2009-06-29 오전 10:28:42

컴퓨터/ 비디오 게임 중독증상 확인


이제 컴퓨터, 비디오 게임, 인터넷은 우리들의 일상적인 삶에 깊숙이 자리를 잡아버렸다. 대부분 사람들은 근무나 학업 이외에도 컴퓨터를 너무 많이 사용해서 재미와 오락의 주요수단으로 되어 가고 있다.

무엇을 컴퓨터중독 또는 비디오 게임중독 이라고 하나?

컴퓨터를 사용할 때에 비디오 게임을 플레이 하거나 인터넷을 서핑 하다보면 가족들은 물론 주위 사람들과의 관계성에 지장을 초래하며, 학업 또는 근무에도 방해를 받게 되어 “중독 사이클(Addiction cycle)”로 치닫게 되는 것을 말한다.

다른 중독들과 똑같이 컴퓨터와 비디오 게임도 친구와 가족들과 함께 시간을 보내지 못하도록 정서적인 삶에 영향을 미친다. 컴퓨터와 비디오 게임이 점점 더 기분을 좋게 해주어 중독자는 더 많은 시간동안 비디오 게임을 하거나 인터넷을 서핑 한다. 컴퓨터나 게임을 못하게 될 때에는 기분이 침울해지거나 금단증상을 경험한다.

문서 파일들을 정리하거나 보내고, 게임, 서핑, 채팅, 메신저, 이메일 등을 점검하는데 하루에 10시간을 소비한다면 한주에 70~80시간이나 컴퓨터를 하기 때문에 친교, 학업, 또는 직업에 방해가 불가피 해지는 결과를 초래한다.

컴퓨터 및 비디오 게임 중독 증상 확인
    (Symptoms of computer or video game addiction)

▣ 자녀들 (For children)

1. 학교에 갔다 와서는 컴퓨터나 비디오 게임으로 대부분 시간을 보낸다.
   (Most of non-school hours are spent on the computer or playing video games.)

2. 학업시간에 존다 (Falling asleep in school)

3. 학업과제들을 제대로 이행하지 못 한다 (Not keeping up with assignments)
 
4. 성적이 떨어진다 (Worsening grades)

5. 컴퓨터 사용이나 비디오 게임을 한 것에 거짓말 한다
   (Lying about computer or video game use)

6. 친구들을 만나보기보다는 컴퓨터를 하거나 비디오 게임을 하는 선택을 한다
    (Choosing to use the computer or play video games, rather than see friends)

7. 클럽이나 스포츠와 같은 기타 사교그룹에 빠진다
    (Dropping out of other social groups like clubs or sports)

8. 비디오 게임이나 컴퓨터를 하지 않을 때는 성급함을 보인다
    (Irritable when not playing a video game or on the computer)

▣ 성인들 (For adults)

1. 컴퓨터나 비디오 게임이 강렬한 기쁨과 죄의식 감정을 야기한다 
   (Computer or video game use is characterized by intense feelings of
    pleasure and guilt)

2. 온라인에 접속하지 않았을 때에도 컴퓨터를 하고 싶은 강박관념에 사로잡힌다
    (Obsessing and pre-occupied about being on the computer,
     even when not connected)

3. 비디오 게임을 플레이하거나 컴퓨터를 사용하는 시간이 점차 증가해서 가족, 
   친교, 또는 직장생활까지 심히 방해받는다 
   (Hours playing video games or on the computer increasing,
    seriously disrupting family, social or even work life)

4. 컴퓨터 사용이나 비디오 게임을 한 것에 대해 거짓말 한다 
    (Lying about computer or video game use)

5. 컴퓨터나 비디오 게임을 하지 못할 때에는 금단, 분노, 또는 우울한 감정을 경험한다
   
(Experience feelings of withdrawal, anger, or depression when not
     on the computer or involved with their video game)

6. 온라인 서비스를 많이 받아서 전화비와 크레디트 카드 비용이 많아진다.
    (May incur large phone or credit bills for on-line services)

7. 컴퓨터나 비디오 게임 사용을 절제할 수 없다
    (Can't control computer or video game use)

8. 파트너와의 정서적인 삶이 온라인상의 가상적인 삶으로 대치된다
    (Fantasy life on-line replaces emotional life with partner)

중독으로 야기되는 육체적 증상들
   
(Physical symptoms that may point to addiction)

1. 손목 관절 증후군 (Carpal tunnel syndrome)
2. 수면 방해 (Sleep disturbances)
3. 등과 목에 통증 (Back, neck aches)
4. 두통 (Headaches)
5. 안구 건조 (Dry eyes)
6. 제때 식사를 하지 못하거나 개인위생을 소홀이 한다 
   (Failure to eat regularly or neglect personal hygiene)

컴퓨터나 비디오 게임에 중독된 사람은 온라인이나 게임의 가상적인 세계가 자신의 실제 세계를 대치시킨다. 그래서 컴퓨터나 게임의 가상적 현실은 가족, 학교, 직장 등의 일상적인 세상보다 더 매혹적이며, 인터넷 음란물 관람이나 게임을 자꾸만 더 하다보면 가상적인 세계가 아주 성적문란으로 이어질 위험이 있다.

* 컴퓨터와 비디오 게임 중독의 첫 치유단계는 이상 증상들을 인식하고,
   전문적인 회복 도움을 구하는 것이다.



 

다음글 :

쇼셜 네트워킹 중독증상 확인방법

이전글 :

도벽중독 20가지 자가 점검 질의문